고령상징물
군기

기의 설명
- 깃면의 길이와 너비는 3:2의 비례로 하되 표준규격은 길이 120cm,너비 80cm로 한다.
- 군기의 바탕은 백색으로, 마크는 파란색, 녹색으로, 글씨는 흑색으로 한다.
- 정기의 제작은 자수를 한후 금실을 단다.
- 약기는 필요에 따라 적정한 색채와 동일한 비례로 축소 또는 확대하여 활용할 수 있다.
심볼

색상의 의미
- 위의 파란색은 미래,희망,창조를 뜻함.
- 아래의 녹색은 풍요,안정,발전을 뜻함 .
문장의 의미

바탕의 타원
- 전군민이 화합하여 희망찬 미래를 향한 고령인의 진취적인 기상을 표현

파란색 상위 부분
- 깨끗하고 쾌적한 환경적 공간을 뜻함

초록색 중간 부분
- 낙동강과 고령을 둘러싼 회천이 정체되지 않고 끊임없이 변화,발전하여 세계로 미래로 나아가려는 고령인의 강한 의지를 나타냄

초록색 하위 부분
- 비옥한 옥토를 뜻함

빗살 부분
- 대가야의 정신(가야금)을 존중,계승 하고자 하는 고령인의 순수함을 나타냄

흰색 중간 부분
- 수려한 산과 지산동고분군 및 산업발달의 원동력인 사통팔달한 도로망을 형상화
슬로건

Color
- 블루 : 하늘, 비전 상징
- 그린 : 자연, 청정지역 상징
- 옐로우 : 땅(地) 태양의 기운 상징
Graphic Motive
- 뻗어나가는 양의 기운 상징
- 1읍 7면의 미래를 향한 도약 상징
Concept
- 리듬감과 활력있는 어감 강조 : 도전적, 미래적
- 대내적 : 반드시 가야할 목표를 향한 단결력
- 대외적 : 반드시 가봐야 할 곳, 고령
군캐릭터
가야돌이
- 대가야를 상징하는 가야고분, 왕관, 가야금의 이미지를 살린 캐릭터와 어울리도록 '가야'로 정함.
- 아주 귀엽고 슬기롭다는 뜻의 '돌이'란 이름을 합성




군민헌장
대가야의 도읍인 우리 고령은 가야산 연봉의 푸른 정기와 회천의 맑은 물빛에 서려 찬란한 문화를 창건 한 자랑스러운 고장이다.
면면히 이어온 우륵의 선율과 선현이 지켜온 높은 절의와 국난을 극복한 조상의 슬기는 우리의 저력이다.
기름진 들판에 씨를 뿌리고 뜨거운 사랑으로 서로 돕던 선인의 지혜를 거울삼아 번영과 평화의 내일을 내 다 보면서 스스로의 자세를 가다듬는다.
하나, | 우리는 뿌듯한 자긍심으로 대가야 문화의 전통을 기리며 빛나는 향토문화를 계발한다. |
하나, | 우리는 신의와 공익을 앞세우고 예절과 질서를 조눙하여 그윽한 애향의 얼을 드높인다. |
하나, | 우리는 근면 성실하게 일하며 새로운 가치를 창조하여 풍요로운 고장을 이룩한다. |
군조

왜가리
- 3월에 백로의 무리와 함께 도래하여 이곳에서 새끼를 부화한다.
- 백의 민족의 상징인 흰색과 기름진 토지를 상징하는 갈색과 가야토기 원료인 황토색깔이 조화를 이루며 백로와 집단생활은 이웃과 화합을 상징 한다.
군화

철죽
- 야산이 많은 고령지역은 산마다 철쭉이 군락을 이룬다.
- 붉고 맑은 색은 군민의 불타는 애향심과 맑고 훈훈한 인정미를 상징하고 동시에 피므로 군민의 총화된 정신을 의미한다.
군목

오동나무
- 악성 우륵이 가야천변의 오동나무로 가야금을 만들었다는 기록이 있는 신령스런 나무로서 지금은 고급가구의 재료로 활용되고 고령지역 고르게 분포되어 있다.
공공저작물관련

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 기준(공공누리, KOGL)제 1 유형 조건에 따라 저작물의 출처를 구체적으로 표시한 후 이용할 수 있습니다.